스프레드(Spread)
19. Oct. -15. Nov. 2020
Na Hye Ryung Invited Exhibition
The title of the exhibition, Spread, means develop, establish, unfold, and report. The event begins with trauma based on the artist’s personal experiences. Trauma, originated from the Greek traumat, involvesboth external and internal disorder. Psychologically, it refers to “mental wound” that leaves permanent psychological disorder. In particular, the artist reveals internal mental state and interaction through self-confessing actions abou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t the exhibit, the artist presents “Untitled (2020)”, an extension to the installation work “Sweet Liar” in 2013. To express her mental pain eroded by trauma, the artist made the work exhibit using iridescent papers. The audience will feel like they are standing inside of candy shell, and they will also experience the artist’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 What If series from 2014, an extension to the installation work, “Sweet Liar,” is a plane painting work. Images established in a visible or invisible manner by the artist’s subconscious flow in the boundary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colors are overlapped in the canvas. Through this whole process, the artist expresses (1) all contradiction and disregard of human beings that she had to bear in the social structure; (2) pain caused by relations; (3) internal wound and deep insight about life.
The artist does not lock herself up in the trauma, nor find solutions to the problem in the outside world. Rather, she explores nature of life by looking back her inner side and asks questions. Such development of her mental state is expressed through canvas, and the audience can experience the process that the artist overcomes trauma. In short, the artist is breathing in the boundary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in self-performing manners, and realizes internal growth. Based on questions about the fundamental meaning of trauma, and suppressed memory, she sublimatesself-practice process in art.
본 전시 스프레드(Spread)는 영어로 전파, 전개, 부식, (접혀 있던 것을) 펼치다, 기록하다 등의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작가가 겪은 개인적 경험을 토대로 생겨난 트라우마에서 시작된다. 트라우마(Trauma)는 그리스어 트라우마트(Traumat)에 기원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외상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를 내포하고 있다. 심리학적으로는 영구적으로 정신적 장애를 남기는 ‘정신적 외상’을 지칭하는데, 특히 작가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대한 자기고백적 행위를 통하여 표현된 내적 심리상태와 상호작용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2013년 설치 작업 'Sweet Liar'의 연장선에 있는 'Untitled(2020)'를 처음 선보인다. 작가 초기 작업의 일환으로 트라우마에 침식된 심리적 고통의 상태를 2014년의 퍼포먼스 ‘Untitled’의 역발상으로 작업 전시장을 Iridescent Paper로 만들어 마치 사탕 껍데기 내부에 있는 듯한 간접적 경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관객은 그녀의 의식과 무의식을 체험하게 될 것이다.
2014년부터 현재까지 진행하고 있는 'What If' 시리즈는 설치 작업 'Sweet Liar(2013)'의 연장선에 있는 평면 회화 작업이다.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에서, 작가의 잠재의식적인 흐름에 의한 가시적이거나 비가시적으로 형상화된 이미지와 색이 캔버스에 계속 중첩되는 과정을 통해 그녀가 오롯이 견뎌야만 했던 사회 구조안에서의 인간의 모순과 외면, 관계에 의한 고통, 절망감 등으로 인한 작가 내면의 상처와 동시에 삶에 대한 깊은 통찰을 표현하고 있다. 작가는 스스로를 트라우마 안에 가두거나 외부에서 문제의 해결점을 찾지 않고, 자아의 내면을 돌아보는 방식을 통하여 삶의 근본적인 본질에 대해 탐구하고 질문해 나간다. 작가의 이러한 변화 과정은 화폭을 통해 심리적, 정신적 상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관객은 작품을 통해 작가와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여정을 함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가는 자기 수행적 작업 방식을 통하여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에서 호흡하면서 내면적 성장을 작품을 통해 이뤄내고 있으며 트라우마의 근원적 의미에 대한 물음과 억압된 기억을 바탕으로 과거 경험에서 벗어나고자가 아닌, 트라우마를 마주하고 극복해나가는 자기 수행 과정을 작업으로써 승화시켰다.
Organized by D Emptyspace, 4Log Artspace
Sponsored by Ministry of Culture , Sports and Tourism,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Spread I : What if | 전시 관람하기
Spread II : Untitled | 전시 관람하기
작가소개
나혜령(Na Hye Ryung)
Born in Seoul, Korea. Lives in New York, US, and Korea. Major solo exhibitions were held at: D Emptyspace (online, 2020), 4Log Artspace (Seoul, Korea, 2020), The flux gallery (Seoul, Korea, 2020), Asa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eoul, Korea, 2019), Gallery Iang (Seoul, Korea, 2019), The 3rd place (Seoul, Korea, 2018), and Alternative Space Noon (Suwon, Korea, 2018). She also participatedin many group exhibits including: DongSoong Art Center. (Seoul, Korea, 2019), BARDO-29/House Museum (Gilliam, Canada, 2017), Holland Tunnel Gallery (New York, US, 2017), The Untitled space(New York, US, 2017), 12o collective (London, UK, 2016), Czong Institute for Contemporary Art (CICA) (Gimpo, Korea, 2015), OCAD University (Toronto, Canada, 2015), Urban and Industrial Museum Rüsselsheim (Hesse, Germany, 2016), The New School University Center (New York, US, 2014), The State Hermitage Museum (Saint Petersburg, Russia, 2014), and Hankuk Art Museum (Seoul, Korea, 2010).
She was selected as the new artist by Asa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Asan, Korea, 2019)and Parsons School of Design Dean’s BFA Scholarship (New York, US, 2011–2015). She participated in the Worldwide Apartment and Studio Biennale (Yesan, Korea, 2016) as solo exhibit and Feminist art conference at OCAD University (Toronto, Canada, 2015) as panelist,. She is actively working around the world. She received thebachelor's degree from Bachelor of Fine Art in Fine Arts at Parsons School of Design, New York, US.
대한민국 서울 출생, 현재 미국 뉴욕과 한국에 거주하며 활동중이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D Emptyspace (2020, 온라인), 4Log (2020, 서울, 한국), The flux gallery (2020, 서울, 한국), 아산문화재단 (2019, 서울, 한국), 갤러리이앙 (2019, 서울, 한국), The 3rd place (2018, 서울, 한국), 대안공간 눈 (2018, 수원, 한국)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고, 동숭아트센터 (2019, 서울, 한국),BARDO-29/House Museum (2017, 길리엄, 캐나다) Holland Tunnel Gallery(2017, 뉴욕, 미국) The Untitled space(2017, 뉴욕, 미국), 12o collective (2016, 런던, 영국), CICA 미술관 (2015, 김포, 한국), OCAD University (2015, 토론토, 캐나다), 뤼셀스하임 시립 산업 박물관 (2016, 헤센, 독일), The New School University center (2014, 뉴욕, 미국), The State Hermitage Museum (2014,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한국미술관 (2010, 서울, 한국) 외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하였다. 또한 수상 및 선정으로는 아산문화재단 신진작가 선정(2019, 아산, 한국), Parsons school of design Dean’s BFA Scholarship (2011-2015, 뉴욕, 미국) 등이 있으며, Worldwide Apartment and Studio Biennale (2016, 예산, 한국)에 개인전으로 참여 및 Feminist art conference at OCAD University (2015, 토론토, 캐나다) 에 패널리스트로 참여하는 등 전 세계를 무대로 활발히 활동중이며 미국 뉴욕에 위치한 파슨스 디자인스쿨 (Parsons School of Design)에서 순수예술(Bachelor of Fine Art in Fine Arts)과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전시 작품 소개
Untitled
An extension to the installation work Sweet liar (2013), this work has been transforming and developing as medium through the painting series of the same title in 2013–2014, and through performance in 2014. For Untitled (2020), the internal space where the performer was located for the Untitled (2014) performance, is extended. As a result, the audience can have a feeling that they become performer in a conscious and unconscious manner.
Sweet liar (2013) 설치 작업의 연장선으로 2013-2014년에는 같은 제목의 페인팅 시리즈, 2014년에는 퍼포먼스를 통해 점차 매체적인 변형 및 확장되었다. 이번 전시를 통해 보여지는 Untitled (2020)은 Untitled (2014) 퍼포먼스 당시 퍼포머가 있었던 내부공간을 확장하여 설치 함으로써 관객이 의식/무의식적으로 퍼포머가 된 것과 같은 체험을 하게 된다.
Iridescent paper, sounds and lights, Dimensions variable, 2020
What If
What If (2014–) series express communication mistakes through contingency and instantaneity that take place via colors when the installation work Sweet Liar (2013) transforms to the flat space.
What If (2014-)는 Sweet Liar(2013) 설치가 평면으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색을 통해 발생되는 우연성과 순간성을 통해 의사소통의 오류를 표현하였다.
Oil on canvas, 76.2 x 76.2 cm (30 x 30 inches), 2014
Oil on canvas, 76.2 x 76.2 cm (30 x 30 inches), 2016
Oil on linen, 72.7 x 72.7 cm, 2020
스프레드(Spread)
19. Oct. -15. Nov. 2020
The title of the exhibition, Spread, means develop, establish, unfold, and report. The event begins with trauma based on the artist’s personal experiences. Trauma, originated from the Greek traumat, involvesboth external and internal disorder. Psychologically, it refers to “mental wound” that leaves permanent psychological disorder. In particular, the artist reveals internal mental state and interaction through self-confessing actions abou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t the exhibit, the artist presents “Untitled (2020)”, an extension to the installation work “Sweet Liar” in 2013. To express her mental pain eroded by trauma, the artist made the work exhibit using iridescent papers. The audience will feel like they are standing inside of candy shell, and they will also experience the artist’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 What If series from 2014, an extension to the installation work, “Sweet Liar,” is a plane painting work. Images established in a visible or invisible manner by the artist’s subconscious flow in the boundary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colors are overlapped in the canvas. Through this whole process, the artist expresses (1) all contradiction and disregard of human beings that she had to bear in the social structure; (2) pain caused by relations; (3) internal wound and deep insight about life.
The artist does not lock herself up in the trauma, nor find solutions to the problem in the outside world. Rather, she explores nature of life by looking back her inner side and asks questions. Such development of her mental state is expressed through canvas, and the audience can experience the process that the artist overcomes trauma. In short, the artist is breathing in the boundary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in self-performing manners, and realizes internal growth. Based on questions about the fundamental meaning of trauma, and suppressed memory, she sublimatesself-practice process in art.
본 전시 스프레드(Spread)는 영어로 전파, 전개, 부식, (접혀 있던 것을) 펼치다, 기록하다 등의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작가가 겪은 개인적 경험을 토대로 생겨난 트라우마에서 시작된다. 트라우마(Trauma)는 그리스어 트라우마트(Traumat)에 기원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외상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를 내포하고 있다. 심리학적으로는 영구적으로 정신적 장애를 남기는 ‘정신적 외상’을 지칭하는데, 특히 작가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대한 자기고백적 행위를 통하여 표현된 내적 심리상태와 상호작용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2013년 설치 작업 'Sweet Liar'의 연장선에 있는 'Untitled(2020)'를 처음 선보인다. 작가 초기 작업의 일환으로 트라우마에 침식된 심리적 고통의 상태를 2014년의 퍼포먼스 ‘Untitled’의 역발상으로 작업 전시장을 Iridescent Paper로 만들어 마치 사탕 껍데기 내부에 있는 듯한 간접적 경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관객은 그녀의 의식과 무의식을 체험하게 될 것이다.
2014년부터 현재까지 진행하고 있는 'What If' 시리즈는 설치 작업 'Sweet Liar(2013)'의 연장선에 있는 평면 회화 작업이다.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에서, 작가의 잠재의식적인 흐름에 의한 가시적이거나 비가시적으로 형상화된 이미지와 색이 캔버스에 계속 중첩되는 과정을 통해 그녀가 오롯이 견뎌야만 했던 사회 구조안에서의 인간의 모순과 외면, 관계에 의한 고통, 절망감 등으로 인한 작가 내면의 상처와 동시에 삶에 대한 깊은 통찰을 표현하고 있다. 작가는 스스로를 트라우마 안에 가두거나 외부에서 문제의 해결점을 찾지 않고, 자아의 내면을 돌아보는 방식을 통하여 삶의 근본적인 본질에 대해 탐구하고 질문해 나간다. 작가의 이러한 변화 과정은 화폭을 통해 심리적, 정신적 상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관객은 작품을 통해 작가와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여정을 함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가는 자기 수행적 작업 방식을 통하여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에서 호흡하면서 내면적 성장을 작품을 통해 이뤄내고 있으며 트라우마의 근원적 의미에 대한 물음과 억압된 기억을 바탕으로 과거 경험에서 벗어나고자가 아닌, 트라우마를 마주하고 극복해나가는 자기 수행 과정을 작업으로써 승화시켰다.
Organized by D Emptyspace, 4Log Artspace
Sponsored by Ministry of Culture , Sports and Tourism,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Spread I : What if | 전시 관람하기
Spread II : Untitled | 전시 관람하기
나혜령(Na Hye Ryung)
Born in Seoul, Korea. Lives in New York, US, and Korea. Major solo exhibitions were held at: D Emptyspace (online, 2020), 4Log Artspace (Seoul, Korea, 2020), The flux gallery (Seoul, Korea, 2020), Asa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eoul, Korea, 2019), Gallery Iang (Seoul, Korea, 2019), The 3rd place (Seoul, Korea, 2018), and Alternative Space Noon (Suwon, Korea, 2018). She also participatedin many group exhibits including: DongSoong Art Center. (Seoul, Korea, 2019), BARDO-29/House Museum (Gilliam, Canada, 2017), Holland Tunnel Gallery (New York, US, 2017), The Untitled space(New York, US, 2017), 12o collective (London, UK, 2016), Czong Institute for Contemporary Art (CICA) (Gimpo, Korea, 2015), OCAD University (Toronto, Canada, 2015), Urban and Industrial Museum Rüsselsheim (Hesse, Germany, 2016), The New School University Center (New York, US, 2014), The State Hermitage Museum (Saint Petersburg, Russia, 2014), and Hankuk Art Museum (Seoul, Korea, 2010).
She was selected as the new artist by Asa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Asan, Korea, 2019)and Parsons School of Design Dean’s BFA Scholarship (New York, US, 2011–2015). She participated in the Worldwide Apartment and Studio Biennale (Yesan, Korea, 2016) as solo exhibit and Feminist art conference at OCAD University (Toronto, Canada, 2015) as panelist,. She is actively working around the world. She received thebachelor's degree from Bachelor of Fine Art in Fine Arts at Parsons School of Design, New York, US.
대한민국 서울 출생, 현재 미국 뉴욕과 한국에 거주하며 활동중이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D Emptyspace (2020, 온라인), 4Log (2020, 서울, 한국), The flux gallery (2020, 서울, 한국), 아산문화재단 (2019, 서울, 한국), 갤러리이앙 (2019, 서울, 한국), The 3rd place (2018, 서울, 한국), 대안공간 눈 (2018, 수원, 한국)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고, 동숭아트센터 (2019, 서울, 한국),BARDO-29/House Museum (2017, 길리엄, 캐나다) Holland Tunnel Gallery(2017, 뉴욕, 미국) The Untitled space(2017, 뉴욕, 미국), 12o collective (2016, 런던, 영국), CICA 미술관 (2015, 김포, 한국), OCAD University (2015, 토론토, 캐나다), 뤼셀스하임 시립 산업 박물관 (2016, 헤센, 독일), The New School University center (2014, 뉴욕, 미국), The State Hermitage Museum (2014,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한국미술관 (2010, 서울, 한국) 외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하였다. 또한 수상 및 선정으로는 아산문화재단 신진작가 선정(2019, 아산, 한국), Parsons school of design Dean’s BFA Scholarship (2011-2015, 뉴욕, 미국) 등이 있으며, Worldwide Apartment and Studio Biennale (2016, 예산, 한국)에 개인전으로 참여 및 Feminist art conference at OCAD University (2015, 토론토, 캐나다) 에 패널리스트로 참여하는 등 전 세계를 무대로 활발히 활동중이며 미국 뉴욕에 위치한 파슨스 디자인스쿨 (Parsons School of Design)에서 순수예술(Bachelor of Fine Art in Fine Arts)과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Untitled
An extension to the installation work Sweet liar (2013), this work has been transforming and developing as medium through the painting series of the same title in 2013–2014, and through performance in 2014. For Untitled (2020), the internal space where the performer was located for the Untitled (2014) performance, is extended. As a result, the audience can have a feeling that they become performer in a conscious and unconscious manner.
Sweet liar (2013) 설치 작업의 연장선으로 2013-2014년에는 같은 제목의 페인팅 시리즈, 2014년에는 퍼포먼스를 통해 점차 매체적인 변형 및 확장되었다. 이번 전시를 통해 보여지는 Untitled (2020)은 Untitled (2014) 퍼포먼스 당시 퍼포머가 있었던 내부공간을 확장하여 설치 함으로써 관객이 의식/무의식적으로 퍼포머가 된 것과 같은 체험을 하게 된다.
Iridescent paper, sounds and lights, Dimensions variable, 2020
What If
What If (2014–) series express communication mistakes through contingency and instantaneity that take place via colors when the installation work Sweet Liar (2013) transforms to the flat space.
What If (2014-)는 Sweet Liar(2013) 설치가 평면으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색을 통해 발생되는 우연성과 순간성을 통해 의사소통의 오류를 표현하였다.
Oil on canvas, 76.2 x 76.2 cm (30 x 30 inches), 2014
Oil on canvas, 76.2 x 76.2 cm (30 x 30 inches), 2016
Oil on linen, 72.7 x 72.7 cm, 2020